안산치과 시린이 원인은 치아패임? 치경부마모증 치료는 어떻게 할까요?

반갑습니다.

치의학 박사 장영준입니다.

이가 시려요..

왜 시릴까요?

제목에서는 시린이 원인을 ‘치아패임’ 즉 치경부마모증을 한 원인으로 꼽았지만

이가 시린 원인은 딱 한 가지로 꼽을 수는 없습니다.

신경 근처까지 퍼진 충치, 치아크랙(금이 간 치아), 잇몸질환 등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요.

그 중에서도 이번 글은 이 시림 원인으로 흔한 치경부마모증, 즉 치아와 잇몸이 만나는 경계선 부위가 파인 질환에 대해 말씀드릴 예정인데요.

치아 패임(치경부마모증)의 원인과 치료방법을 실제 본원의 증례를 보여드리며 쉽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비슷한 상황으로 이가 시리다면, 이번 글 끝까지 읽으시고 앞으로 치료 계획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. ^^


1. 시린이 원인: 치경부마모증

앞서 치경부마모증이 뭔지 잠깐 설명드렸는데요.

다시 쉽게 설명드리자면, 치아의 목 부분이 파여있는 증상을 말합니다.

출처: 구글 이미지

실제 본원에서 치경부마모증 때문에 내원하신 분의 구강 내 사진인데요.

저렇게 치아의 목 부분이 파여있다면? 치아 가장 겉면을 감싸고 있는 법랑질이 점점 마모되어

상아질까지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, 그렇게 되면 신경을 보호하는 층이 더 얇아지므로 이가 시리게 되는 것입니다.

저렇게 치경부가 마모되는 원인으로는 크게 아래처럼 5가지 원인이 있는데요.

  1. 잘못된 칫솔질 (과도하게 좌우방향으로 세게)
  2. 딱딱한 음식 자주 섭취
  3. 탄산음료나 신 과일같이 산성이 강한 음식 자주 섭취
  4. 과도합 교합력
  5. 부정교합

원인이 무엇이 됐든, 치경부 마모증을 장시간 방치하게 되면 상아질 노출이 더욱 심해지고

결국 신경치료와 크라운같은 큰 치료로 넘어갈 수 밖에 없습니다.

따라서 치경부마모증이 더욱 심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.

바로 어떻게 치료했는지 살펴보도록 합시다. ^^

2. 치경부마모증 치료

만약 치경부의 파임이 심하지 않다면 ‘레진’이나 ‘글래스 아이오노머(G.I)’라는 재료로 수복하는 치료를 해서

이 시림을 방지할 수 있는데요.

위 사진들은, 치경부가 마모된 곳을 레진으로 수복하여 원래 치아처럼 만들어드린 모습입니다.

레진으로 해당 부위를 수복해드린 후 치료를 마무리해드렸었죠. ^^

이때 중요한 점은, 환자분과 충분히 소통을 하고 치경부가 왜 마모되었는지 원인을 파악한 뒤에

환자분의 습관 교정에 대한 부분을 교육해드리는 것입니다.

레진이나 G.I로 충전했다 할지라도 영원한 건 아니기에, 근본적인 원인을 고치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죠.

3. 치경부마모증: 빨리 치료해야되는 이유

왜 빨리 치료해야 될까요?

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치아 파임의 진행 속도가 점점 빨라지기 때문입니다.

가장 겉면을 감싸는 법랑질은 무기질이 96%라서 뼈보다도 단단합니다. 그러므로 닳는 속도도 가장 느린데요.

하지만 점점 진행되어 법랑질이 모두 마모되고 상아질이 노출된다면?

상아질은 무기질 비율이 75%밖에 안 되기 때문에 마모 속도가 점점 빨라집니다.

그러다가 신경까지 노출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면.. 아마 시림을 넘어 통증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높고요.

결국 신경치료를 불가피하게 진행할 수 밖에 없습니다.

따라서 초기에 치경부마모증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, 명심해 주세요.


지금까지 시린이 원인(치경부마모증), 치료 및 빠른 대처가 중요한 이유까지 알아봤습니다.

‘이가 시리긴 한데.. 치과에 가기엔 무서운데 꼭 가야되나?’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.

저 또한 치과 전문의지만 막상 베드에 누워 치료를 받을 때는 무서워하므로

여러분들의 마음 백번 이해합니다.

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, 치아 패임을 방치하면 추후 더 아프고 기간도 오래 걸리는 신경치료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.

따라서 내원의 발걸음이 무겁더라도, 꼭 치경부마모증인 것 같으면 근처 치과에 내원하셔서 치료받으시길 바랍니다.

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장영준이었습니다. ^^